결핵 예방을 위해 1살 미만 영아에게 접종하는 일본산 도장형 BCG에서 비소가 검출돼 보건당국이 어제 회수 조치를 내렸죠. <br /> <br />기준치를 넘지 않아 안전하다는 게 보건당국의 판단인데 신생아나 이미 접종을 마친 아이 부모들의 걱정이 큽니다. <br /> <br />과연 안전한 건지, 대안은 없는 건지 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김정회 기자! <br /> <br />논란이 되는 게 경피용 BCG입니다. 경피용이 뭔지부터 알아보죠. <br /> <br /> <br />BCG는 두 가지 방식으로 접종합니다. <br /> <br />피부에 15도 각도로 주삿바늘을 찔러 백신을 주입하는 '피내용' 방식이 하나고요. <br /> <br />9개의 바늘을 가진 주사 도구를 이용해 도장 찍듯 눌러 접종하는 '경피용' 방식이 또 다른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요즘은 경피용 BCG를 많이 맞히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불주사'로 알려진 피내용 접종은 주사 맞은 자리에 볼록한 흉터가 생겨서 부모들이 꺼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무료 접종하는 피내용 BCG 대신 소아과에서 7∼8만 원씩 내고 경피용 BCG를 선택하는 부모가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엔 전체 접종자의 60%가, 올해 상반기엔 83%가 경피용 BCG를 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사용이 느는 경피용 BCG에서 비소가 나왔습니다. 비소는 상당히 위험한 독성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왜 여기 들어간 건지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피용 BCG는 원액, 용액, 주사 도구 이렇게 세 가지가 한 세트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원액을 녹여주는 용액, 식염수가 담긴 유리병에서 비소가 일부 검출됐다고 보건당국은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백신의 문제가 아니라 용기의 문제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왜 용기에서 비소가 검출됐는지는 일본 후생성이 현재 해당 제품의 출하를 중단시키고 확인 중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보건당국도 혹시 모를 위험성에 대비해 국내 유통제품에 대해 회수 조치를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곧 독성 여부 실험도 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특히 아이를 둔 엄마들의 걱정이 큽니다. <br /> <br />국민 청원까지 시작됐는데요. 경피용으로 접종한 아이들이 안전한가 때문일 겁니다. <br /> <br />안전한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식약처는 안전하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일본 후생성이 건강영향평가 결과 안전성에 문제가 없어서 회수 없이 제조사 출하만 중단시켰다는 점을 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의약품 국제협력 조화 회의의 금속성 불순물 시험 기준에 따르면 1일 최대 비소 허용량은 1.5 마이크로그램인데 이번에 문제가 된 비소 양은 0.039 마이크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110812140335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